전시산업 썸네일형 리스트형 예술작품과 전시 콘텐츠 - 예술작품과 전시 콘텐츠의 관계에 대하여 예술작품과 전시 콘텐츠- 예술작품과 전시 콘텐츠의 관계에 대하여 I.들어가며 지난 수년간 지자체 또는 기업으로부터 의뢰를 받아 상설 전시관을 건립하는 프로젝트를 수행해 오면서 ‘전시’라고 하는 단어가 가진 너무나도 포괄적인 의미 때문에 ‘전시관을 만듦에 있어 필자의 역할’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려웠던 경우가 많았다. 특히 필자는 ‘전시관’의 ‘공간’ 구축이 아닌 ‘콘텐츠’를 개발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일반적으로 전시의 방향을 정의하고 세부적인 내용을 설정한 후 원천 콘텐츠(Row-data)를 전시관의 방향성에 맞게 재구성하는 일종의 창조적 업무를 수행 해 왔다. 보통 ‘전시를 본다’ 또는 ‘전시관을 간다’라고 하는 관람 행위에 있어 그 대상은 특정한 공간 내 전시 된 ‘콘텐츠’에 있으며, 전시를.. 더보기 ‘전시’에 대한 개념전환을 통한 마케팅 활성화 (1/2) ‘전시’에 대한 개념전환을 통한 마케팅 활성화 (1/2) ‘장치산업’에서 ‘콘텐츠산업’으로의 전환 필요성에 대하여 I. 서언 문득 얼마 전 ‘전시’와 관련된 신문 기사를 보고 가슴이 뜨끔했던 일이 떠오른다. 기사의 제목은 “당신 돈 같으면 그렇게 썼겠나?”, “볼 것 없는 홍보관에 세금 28억 마구 쓰다니...” (2011. 02. 07-08 중앙일보) “미리 만든 수변도시 홍보관... 사업 무산돼 75억 헛돈”, “59억 들인 ‘판박이 홍보관’ 12곳 시민들 외면... ”정말 세금 무서운 줄 몰라“ (2011. 04. 12 중앙일보) 연재 기사의 목적은 많은 지자체들이 무개념으로 벌이고 있는 세금낭비의 실태를 고발하고 이를 통해 시민들의 감시를 독려하고자 하는 내용이었는데, 모든 기사의 화살이 박물관,..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