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기술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시’에 대한 개념전환을 통한 마케팅 활성화 (2/2) ‘전시’에 대한 개념전환을 통한 마케팅 활성화 (2/2) ‘장치산업’에서 ‘콘텐츠산업’으로의 전환 필요성에 대하여 V. 콘텐츠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전시’ 구축사례 어떤 ‘전시’라도 목적이나 의도 없이 만들어지거나 구축되는 경우는 없을 것이다. 전시자의 특정한 목적과 의도를 관람객이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통해 전달할 수 있도록 ‘전시’를 구성함으로써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1. 주중한국문화원(베이징) 내 “e-Korea Zone” (디지털 한국문화체험관) - 2008. 12월 1) 개요 발주기관: 주중한국문화원(베이징), 박영대 원장 수행기간: 2008. 04 - 2008. 12 (기획, 시공, 콘텐츠 개발 및 설치) 구축목표: 첨단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한국문화 체험공간.. 더보기 ‘전시’에 대한 개념전환을 통한 마케팅 활성화 (1/2) ‘전시’에 대한 개념전환을 통한 마케팅 활성화 (1/2) ‘장치산업’에서 ‘콘텐츠산업’으로의 전환 필요성에 대하여 I. 서언 문득 얼마 전 ‘전시’와 관련된 신문 기사를 보고 가슴이 뜨끔했던 일이 떠오른다. 기사의 제목은 “당신 돈 같으면 그렇게 썼겠나?”, “볼 것 없는 홍보관에 세금 28억 마구 쓰다니...” (2011. 02. 07-08 중앙일보) “미리 만든 수변도시 홍보관... 사업 무산돼 75억 헛돈”, “59억 들인 ‘판박이 홍보관’ 12곳 시민들 외면... ”정말 세금 무서운 줄 몰라“ (2011. 04. 12 중앙일보) 연재 기사의 목적은 많은 지자체들이 무개념으로 벌이고 있는 세금낭비의 실태를 고발하고 이를 통해 시민들의 감시를 독려하고자 하는 내용이었는데, 모든 기사의 화살이 박물관,.. 더보기 이전 1 다음